Posts 이산수학 #5강: 집합
Post
Cancel

이산수학 #5강: 집합

신흥철 교수님의 이산수학 5강을 듣고 정리하였습니다.

집합의 개념

정의

  • 명확한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
  • 공통된 성질을 가지며
  • 중복되지 않는 원소(element, member)의 모임

표기방식

  • 원소나열법: 집합에 포함되는 원소를 일일히 나열
    • A={1, 2, 3, 4, 5, 6, 7}={1, 2, 3, …, 7}
  • 조건제시법: 원소의 공통 성질을 조건식으로 제시
    • A = {x|0<x<=7, x N}

※N(자연수) ⊂ Z(정수) ⊂ Q(유리수), I(무리수), R(실수=Q∪I ) ⊂ C(복소수)

집합과 원소의 포함관계

  • a가 집합 A의 원소다: a∈A
  • a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다: a ∉A

기수(Cardinality) |A|

  • 집합 A가 포함하는 원소의 수

Q3-5. 다음 집합의 기수는?

  • A={x|-4≤x≤4, x∈Z} => |A| = 9
  • B={y|-3≤y≤3, y∈Q} =>|B| = ∞

  • C={z|z**3=2, z∈Z} => |C| = 0

유한집합(Finite Set) / 무한집합(Infinite Set)

  • 유한집합: 포함되는 원소의 수가 유한인 집합
  • 무한집합: 포함되는 원소의 수가 무한한 집합

상등(Equal) A=B

  • 두 집합 A, B에 속하는 원소가 동일할 때 “두 집합 A와 B가 서로 같다(상등이다).”

  • A=B ⇔ (a∈A∧a∈B)

    • 어떤 원소가 A의 원소이면 B의 원소라고 한다. 그러면 A와 B는 상등이다.
    • A와 B가 상동이다. 그러면 A의 어떤 원소는 B의 원소이다.
    • 두 명제는 필요충분조건이다.

ex) A={1, 2, 3}, B={1≤x≤3, x∈Z} : A와 B는 원소가 1:1로 동일하다, 즉 상등이다.

같다? 상등(집합), 동치(명제), 합동(기하학)

Q3-8. 다음 중 상등인 집합끼리 짝지으시오.

  • A={a|-3<a≤3, a∈Z}
  • B={1, 2, 4, 8, …}
  • C={c|c=2k , k≥0, k∈Z}
  • D={d|d∈R}
  • E={-2, -1, 0, 1, 2, 3}
  • F={e|e는 유리수거나 무리수}

∴ A=E, B=C, D=F

집합의 종류

전체집합 U

논의 대상이 되는 원소 전체를 포함하는 집합

공집합 Ø 또는 { }

하나의 원소도 포함하지 않는 집합. |Ø|=0

{Ø}는 공집합이 아니다. 공집합을 원소로 포함하고 있는 집합이기 때문이다.

부분집합

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포함된다. |A|≤|B|

a ∈ A이면 a ∈ B이다.

A⊆B은 A=B(상등)와 A⊂B(진부분집합) 두 가지 경우로 나뉘어진다.

진부분집합 A⊂B

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포함되지만 집합 A와 집합 B가 상등이 아니다. |A|<|B|

집합 간 포함 관계 정리

  • 모든 집합 A에 대해 A⊆A
    • 집합 A에 속하는 모든 원소 a에 대해 a∈A이므로 A⊆A가 성립한다.
  • 모든 집합 A에 대해 Ø⊆A
    • 함축명제 a∈Ø→a∈A이 참이다. 공집합에는 원소가 없으므로 a∈Ø는 거짓이다. 조건이 거짓ㅇ이므로 a∈Ø→a∈A는 항상 참이다. 따라서 Ø⊆A는 참이다.

부분집합: a∈A→a∈B가 참이면 A⊆B

p가 거짓이면 p -> q는 항상 참이다. (진리표를 떠올리자.)

  • 모든 집합 A에 대해 A⊆U
    • 집합 U는 전체집합이므로 논의 대상의 모든 원소를 포함한다. 즉 모든 집합 A에 대해 a∈A이면 a∈U이다. 따라서 A⊆U이다.
  • 집합 A, B, C에 대해 A⊆B고 B⊆C면 A⊆C
    • A⊆B에 의해 x∈A이면 x∈B이고, B⊆C에 의해 x∈B이면 x∈C이다. 결국, x∈A이면 x∈C이므로(가설적 삼단논법) A⊆C. ∴ A⊆B고 B⊆C면 A⊆C
  • 집합 A, B에 대해 A=B ⇔ (A⊆B∧B⊆A)
    • 원소 x에 대해 A⊆B일 경우 x∈A면 x∈B. B⊆A일 경우 x∈B면 x∈A. 즉, 원소 x는 집합 A의 원소면서 집합 B의 원소 (x∈A∧x∈B) ⇔ A=B (상등의 정의) ∴ A=B ⇔ (A⊆B∧B⊆A)

Q3-10. 집합 A와 B, 집합 B와 C, 집합 B와 E, 집합 C와 E, 집합 C와 D 간의 포함관계는?

A={a}, B={a, b, w, x, y}, C={x, y}, D={w, x}, E={a, b, w, x, y, z}

답: A⊂B, C⊂B, B⊂E, C⊂E (A⊂E). C와 D는 아무런 관계도 없다.

Q3-11. 집합 A={{a, b}, c, {d}}일 때

{a, b}∈A, c∈A, {{d}}⊂A, {{a, b}, c, {d}}=A

여기서 {a,b}나 {b}는 A의 부분집합이 아니라 원소이다. A의 부분집합은 {{a, b}}, {{d}}이다.
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

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#2장 기본 자료구조

이산수학 #6강: 집합의 연산

Loading comments from Disqus ...